설화는 우리 조상들이 생활 속에서 향유해 온 문학작품이다. 그 속에는 우리 조상들의 꿈과 낭만 웃음과 재치 생활을 통해서 얻은 교훈 역경을 이겨내는 슬기와 용기 등이 문학적으로 형상화되어 있다. 그래서 설화는 문학으로서는 물론 언 어·신앙·풍습·정신사 면에서도 연구검토해야 할 귀중한 자료이다. 전설은 이야기 대상에 따라 연못·바위·섬·명당 등 자연물 절·다리·둑·마을·성 등의 인공물 승려·장수·효자 등의 인물로 나누어 실었다. 민담은 이야기 대상과 모티프에 따라 나누고 이를 다섯 묶음으로 구분하여 실었다.
Ⅰ. 인물에 얽힌 이야기 1. 원효 대사 이야기 2. 퇴계와 율곡의 동침 3. 서화담에게 자손이 없는 까닭 4. 수원 능참봉이 목숨 구한 이야기 5. 정조대왕의 효심이 능의 송충이 없애다. 6. 성종의 미행 7. 서동 탄생담 8. 이성계의 글자점 9. 최영과 이성계가 왜장을 물리치다. 10. 겸암선생과 호랑이 11. 권수함 이야기 12. 연산 서씨 시조담 13. 밀양 손씨 시조담(孫順埋兒) 14. 남평 문씨 시조 유래 15. 파평 윤씨가 잉어를 먹지 않는 까닭 16. 파평 윤씨의 시조 유래 17. 화냥년(還鄕女) 이야기 18. 송광사 주지 탄생담
Ⅱ. 땅 이름에 얽힌 이야기 1. 왕십리의 유래 2. 배오개 유래 3. 안산은 물산 4. 낙성대 유래 5. 광화문 광채를 없앤 일본인 6. 봉원사 기생 비각의 유래 7. 미산(米山) 전설 8. 대성암 미암(米岩) 전설 9. 부안 개암사 쌀바위 10. 용문사 은행나무 11. 소백산 다자구 할머니 12. 상원사 까치의 보은 13. 조룡대 이야기 14. 오수(獒樹)의 개 15. 황지(黃池) 이야기 16. 달래나 보지 고개 17. 달래강 유래 18. 박달재와 달래강의 유래 19. 박달재에 얽힌 이야기 20. 개터사 유래담 21. 제주 삼성 유래
Ⅲ. 재생과 변신, 다른 세상 이야기 1. 불자(佛者)가 개고기를 먹지 않는 까닭 2. 바리공주 이야기 3. 야래자(夜來者) 이야기 4. 부부의 인연 5. 살아 진천, 죽어 용인 6. 뱀신랑 7. 학교 건축에 아이를 묻다. 8. 해와 달이 된 오누이 9. 하늘에 올라간 오누이 10. 도살장의 소가 스님에게 한 말 11. 인과응보 12. 나무꾼과 선녀 이야기 13. 아들로 태어난 구렁이 14. 머리 셋 달린 도적 15. 효자 나무꾼과 도깨비 16. 도깨비와 과부 17. 도깨비 보(洑) 18. 도깨비 이야기
Ⅳ. 인륜과 가르침에 대한 이야기 1. 스님이 명당을 잡아주다. 2. 도인 풍수가 잡아준 우물과 예언 3. 호랑이가 잡아 준 자리 4. 자리 뺏은 딸 5. 호랑이 형님 6. 똥통에 빠진 훈장 7. 목숨 세 번 건진 선비 8. 고려장 9. 구렁이 죽이고 아들 잃다. 10. 메밥을 정성스레 짓는 까닭 11. 두꺼비의 보은 12. 호랑이가 점지한 명당 13. 작은 며느리의 지혜 14. 좁쌀을 시주하고 급제한 선비 15. 고양이가 쥐를 잡아 주인에게 가져다 주는 까닭 16. 자식 못 둘 팔자 17. 기녀와 사랑놀음에 빠져 이빨 빼준 선비 18. 콩쥐 이야기 19. 여자를 믿어서는 안된다. 20. 면천한 종 21. 거지 팔자 22. 노승의 가르침으로 부자가 된 가난한 종 23. 천안 국밥집 하녀 24. 생금장 이야기 25. 제 복에 먹고 산 딸 26. 보쌈에 뒤바뀐 신부
Ⅴ. 웃음을 주는 이야기 1. 궉씨 유래 2. 궉씨 유래 3. 궉씨 시조담 4. 궉씨 시조 유래 5. 곽씨 시조 유래 6. 방구쟁이 며느리 7. 수원 깍쟁이와 개성 깍쟁이 8. 개성 깍쟁이 9. 안성 깍쟁이 10. 개성‧수원 깍쟁이의 겨루기 11. 바보 사위 12. 뺑서방과 꽁서방 13. 자린고비 1 14. 자린고비 2 15. 쑥맥(菽麥) 신랑 16. 파자(破字)로 친구 대접 17. 하루 밤 잠자기 18. 청산에서 잃은 매 19. 첫날밤 지내고 소박 맞은 세 딸 20. 두더지의 혼인 21. ‘미련하기가 곰같다’의 유래 22. 인천, 수원 사람이 짜다고 한 까닭 23. 호랑이 보다 더 무서운 똠뱅이
장장식 경희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졸업 문학박사 현재 국립민속박물관 전문위원 『한국풍수설화연구』 외
홍태한 경희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졸업 문학박사 현재 경희대학교·서울여자대학교 강사 『인물전설의 현실인식』 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