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날 민속학의 개념에서 향토오락의 범위는 민간 신앙부터 구비전승까지 폭넓게 자리하고 있다. 이 책에서의 향토란 가을이면 곡식을 거두는 시골의 개념이 아닌 서민들이 모여 사는 곳을 의미한다. 그것을 전승시키고 발전하며 유희한 이들은 왕족이나 양반계층이 아닌 분명 서민들이었으므로.
그러나 놀라운 것은 이 책은 일본인에 의해 쓰여졌다는 사실이다. 안타까움이 쌓이다보면 놀라데 되는 것인가.
여기에서는 서울을 비롯한 각 지역별로의 향토오락에 대한 전수, 상황, 놀이의 종류 그 방법 등을 조사 분석한다.
서설 1. 장승에의 길 2. 벅수·장승의 감상 3. 문화재로서의 자리 4. 장승류에 관한 문헌 5. 장승류에의 푸대접 6. 벅수와 장승은 무엇인가 7. 장승의 개념 제1부 연구편 제1장 기원과 변천 제2장 명칭고 제3장 형태와 제작 제4장 명문과 기능 제5장 신앙과 제례 제6장 속담·재담·설화 등 제2부 자료편 서설 제1장 장생표류 제2장 문헌에서 찾은 장승 제3장 현존 장승 제4장 지명 장승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