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가’는 관광산업의 활성화로 주목받으면서 해당 지역을 대표하는 ‘핫플’이 되었다. 다만 오늘날의 종가문화는 고택과 음식을 중심으로 대중과 만나고 있다는 점이 아쉬운 대목이다. 종가문화는 단순히 외형의 문화유산이 아니라 가문의 시조 이래 지금의 종손과 종부에 이르기까지 대대로 이어져 온 문화적 전통이 있는데, 이를 가통家統이라고 한다. 여기에는 외형의 문화를 비롯해 시조 이래 가문이 추구해온 정신문화가 자리하고 있는 것이다. 사실 고택과 음식문화는 종가 외에도 접할 수 있는 곳은 많다. 오히려 종가보다도 더 훌륭한 고택을 보유하고 풍성한 음식을 차려내는 집도 많다. 따라서 종가문화를 외형의 문화유산에만 한정시키면 경쟁력을 발휘하기 힘들다. 종가만의 차별화된 콘텐츠가 필요한데, 그건 바로 대를 이어 전승되어온 종가의 스토리다. 종택 곳곳에 걸려있는 현판에는 시조 이래 조상들이 지향해온 삶의 가치가 깃들어있고, 내림 손맛으로 이어져온 음식에는 시어머니와 며느리의 레시피 스토리가 담겨있다. 특히 이런 스토리가 유명 인물에 얽힌 것이라면 브랜드 가치는 더욱 높아질 것이다.
이배용 / 한국 종가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가치와 전망 1. 유네스코 세계 유형문화유산의 현황 2. 종가의 유네스코 세계 유형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 3. 유네스코 세계 인류무형유산의 현황 4. 한국 종가의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를 위한 검토사항 5. 한국종가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가치
문옥표 / 세계 속의 한국 종가문화: ‘유산화遺産化’(heritagisation)의 딜레마와 과제 1. 한국의 종가와 종가문화의 독특성 2. 사회변화와 종가문화에 대한 인식 3. 종가, 종가문화의 보호와 문화유산화 4. 유산화遺産化(heritagisation)의 딜레마와 과제 5. 맺음말
이상균 / 종가문화의 보존과 발전 1. 들어가며 2. 동아시아에서 한국 종가문화의 특수성 3. 종가 탄생의 문화적 맥락 4. 사례로 본 종가문화의 탄생과 확산 5. 종가문화의 보존과 발전방안
주영하 / 종가음식의 관광화와 상품화 1. 문제제기 2. 종가음식에 관한 학술적 관심 3. 종가 제례음식의 변화 4. 상품화와 관광화의 욕구와 대응 5. 대안은 무엇일까? : ‘실천 종가음식’과 ‘문헌 종가음식’의 서로 다른 길
김미영 / 종가제례의 전승과 변화의 딜레마 -불천위 제례를 중심으로- 1. 종가와 불천위 제례 2. 제례음식, 규범을 넘어 다양화와 웅장함으로 3. 전승력 확보를 위한 합리적 변화 4. 수행기반의 해체에 따른 전승 위기 5. 불천위 제례의 문화유산적 의미와 가치
정우락 / 종가, 공존과 상생을 위한 새로운 문화공동체 1. 두 힘의 길항과 융회 2. 위기의 한국 사회와 ‘종가’의 재발견 3. 종법제도와 종가의 탄생 4. 종가와 새로운 문화공동체 5. 세계유산으로서의 가능성 모색
백운용 / 종가의 문화적 가치와 미래 1. 종가의 문화적 가치 2. 종손의 역할, 그리고 종가의 미래
이영찬 / 현대사회에서 유교공동체가 활성화되어야 할 필요성 1. 머리말 2. 성주 유교공동체의 실태와 활동 3. 성주지역 유교공동체의 활동 4. 유교공동체간 상호연결망 5. 결론 -사회적 자본으로서의 유교공동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