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아시아 여성 수피 종교인의 의례연행에 따른 전통예술과 전승에 대한 최초의 민족지 이 책은 이제까지 외부에게는 잘 알려지지 않거나 종종 왜곡되어 왔던(서구인에 의해) 중앙아시아 사회에서 여성들의 종교와 문화실습에 대해 내국인 학자가 최초로 밝힌 연구서이다. 저자는 25년 이상에 걸친 현지조사를 통해 드러나지 않았던 무슬림 여성들의 일상적인 의례행위와 전통예술의 계승 및 실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해 준다. 방대한 땅을 차지하고 천연자원의 보고이자 고대 실크로드의 주요 루트인 중앙아시아의 역사, 종교, 문화, 여성들에 대해 총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훌륭한 책이다.
이 책은 샤머니즘에서 이슬람 수피까지의 종교적 신념에 뿌리를 둔 전통예술(시, 노래, 음악, 춤 등)의 보존과 발전에 공헌한 중앙아시아 여성들의 역할을 재조명한 혁신적인 총서이다. 이 책의 유니크함은 단지 여성들의 역할을 확대하는 데 있지 않고 남성위주의 사회로 통합되는 저자의 균형있는 젠더의식을 보여줌으로서 오히려 여성의 지위를 한껏 돋보이게 해주고 있다.
제9장 여성 민속 수피즘 1. 여성의 종교실습들 2. 여성 수피교도 피르Pir로서 오틴-오이Otin-Oy 3. 어떻게 오틴-오이가 되는가 :말리카 아스까로바의 사례Malika Asqarova’s case 4. 오틴-오이가 이끄는 수피의례들 5. 지크르Zikr 6. 현재 상황:부하라에 있는 여성종교학교
제10장 여성 의례들 1. 오틴-오이가 이끄는 그밖의 의례들 2. 오틴-오이가 이끄는 종교의례들의 분류 3. 의례행사에서 오끼슈Oqish(낭독) 4. 이슬람교 이전의 실습들:무슈쿨 쿠쇼드Mushkul Kushod 5. 여성의 통과의례 6. 수피교도 연회로서 토이Toy(결혼축하) 7. 오틴-오이가 이끄는 연중행사 의례들 8. 우즈베키스탄 대중문화에서 오틴-오이
제11장 투르크어 사용지역(타타르인, 아제리인, 터키인, 키프로스인과 아프간인 전통)에서 나타난 유사한 여성 의례들 1. 투르크인 의례들과 의식행사들 2. 여성 의례는 얼마나 음악적인가?
결론
부록
옮긴이 후기 용어해설 도판해설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 라지아 술타노바
케임브리지 대학에 소속된 케임브리지 중앙아시아 포럼의 펠로우이자 중앙아시아 음악연구소 소장이다. 우즈베키스탄 국립 콘서바토리를 졸업했고, 모스크바 국립 콘서바토리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그 대학의 방문교수로 있다. 런던대학의 골드스미스 칼리지와 SOAS의 특별 연구원이기도 했으며, 연구분야는 러시아와 중앙아시아에서 중동지역의 음악까지 다양하다. 라지아는 ‘Music and Identity in Central Asia’라 표제가 된 Journal Ethnomusicology Forum(2005)의 특별호를 편집한 바 있다. 또한 ‘Entre Femmes’(2005)라 표제된 Cahiers de musiques traditionelles저널의 특별호와 Sacred knowledge: Schools or Revelation? Master-Apprentice System of Oral Transmission in the Music of the Turkic Speaking World(2009), “Sofia Gubaidulina’s Orientalism in Chamber Music”-Orientality: Cultural Orientalism and Mentality(published by the Orientalist Museum, Doha, Qatar, May, 2015)를 편집했다.
옮긴이 박일우
한양대학교 음악대학 기악과를 졸업하고, 영국의 골드스미스 컬리지(런던대학교)에서 음악과 인류학(Ethnomusicology) 음악석사와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단행본:『서유럽의 민속음악과 춤』(한양대학교 출판부, 2001), 『영국의 민요와 발라드』(한양대학교 출판부, 2003), 『켈트음악, 영국제도를 품다:22개 영화로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웨일스, 아일랜드 음악읽기』(한울아카데미, 2015) 번역서:『예후딘 메뉴인의 바이올린 연주 동작분석(VIOLIN - Six Lessons with Yehudi Menuhin)』(한양대학교 출판부, 2005), 『아일랜드의 역사(The Course of Irish History)』(한울아카데미,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