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소리명창과 가야금명인이 만든 가야금병창을 해부하다 이 책에서는 가야금병창의 전성기이자 태동기인 일제강점기를 전후로 나타난 판소리명창과 가야금명인의 가야금병창을 비교해 보고, 그 음악 구조의 차이를 분석하여 그 생성 과정에 관한 비밀을 밝히고자 하였다. 가야금병창의 기원에 관해서는 명확히 알려진 바가 없으나 일제강점기에 여러 판소리, 가야금 명인들이 가야금병창 음원 발매 및 라디오방송 등을 통해 활발히 활동하였다. 당시 활동은 현재까지도 여러 음원으로 전해져 내려온다. 특히 근대화라는 시대적 변화와 함께 새로운 매체 및 공연장의 등장이 가야금병창의 장르화를 촉진하였다는 관점은 새롭고 독창적이다.
초창기 가야금병창의 음악 구조 분석을 통해 가야금병창 장르의 독자성을 규명하고 구성 원리를 파악함으로써, 사장된 레퍼토리를 복원하는 것은 물론, 새로운 레퍼토리를 개발하기 위한 방법론을 제시한다. 가야금병창 전환기인 현재, 창작가야금병창 등 새로운 변화가 시도되고 있는데, 이에 대한 전통과 현대의 흐름과 맥락을 파악함으로써 앞으로 가야금병창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제2장 가야금병창의 유래 및 시대별 특성 1. 가야금병창의 유래 2. 가야금병창의 시대별 특징 3. 가야금병창 태동기 활동 현황 및 특성
제3장 판소리명창의 가야금병창 음악 구조 분석 1. 오태석 명창의 가야금병창 분석 2. 이소향 명창의 가야금병창 분석 3. 오비취 명창의 가야금병창 음악 구조 분석
제4장 가야금명인의 가야금병창 음악 구조 분석 1. 심상건 명인의 가야금병창 분석 2. 정남희 명인의 가야금병창 분석 3. 함동정월 명인의 가야금병창 음악 구조 분석
제5장 판소리명창 및 가야금명인의 가야금병창 특성 비교 1. 사설의 붙임새 2. 음악적 구성 3. 출현음의 빈도수 4. 가야금 반주 형태
제6장 결론
부록 1. 시기별 단가와 판소리 5바탕 음원 목록 2. 경성방송국 국악방송곡 연도별 가야금병창 연주자 3. 경성방송국 가야금병창 현황 4. 악보
Abstract 참고문헌 찾아보기
박혜련 朴惠蓮 Park Hye Ryun 박혜련은 중앙대학교 국악대학을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제17회 KBS국악대경연 가야금병창부분에서 장원을 수상하고, 이후 제35회 전주대사습놀이 가야금병창부문에서 장원, 제35회 탄금대 전국가야금경연대회에서 대통령상을 수상하였다. 현재 국가무형문화재 가야금산조 및 병창 이수자와 한국예술종합학교 객원교수로 재직하며 후학 양성에 힘쓰고 있다.
주요 논문 「가야금병창의 복원 및 레퍼토리 확장을 위한 구성원리연구」, 『이화음악논집』 제36집 제3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대학원 음악연구소, 2022. 9. 「가야금병창의 태동과 발전과정」, 『문화와 융합』 제46권 1호, 한국문화융합학회, 2024.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