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회귀라는 러시아의 발전전략을 배경으로 하여 동북아시아와 동남아시아를 포함한 동아시아 국가들과 유라시아 지역 간에 공유하는 주요 이슈와 관련 국가들 간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양 지역 및 국가 간의 통합과 연결의 시도와 갈등의 관계를 분석하다.
2014년 초 러시아의 크림반도 병합을 비롯한 우크라이나 사태와 2022년 2월 24일 발발한 우크라이나 전쟁은 러시아를 둘러싼 국제 정치ㆍ경제 환경을 크게 변화시키고 러시아와 서방국가들 간의 관계를 급격히 악화시켰다. 러시아는 이러한 대외적 환경의 악화에 대처하기 위해 발전전략의 전환을 강요받았다. 이와 관련하여 주목받고 있는 정책이 적대적인 서방으로부터 아시아로의 전환, 이른바 ‘아시아로의 회귀(Pivot to Asia)’ 혹은 ‘동방으로의 전환(Turn to the East)’ 등으로 불리는 아시아 회귀전략이다.
제1장 러시아의 아시아 회귀전략과 동아시아_ 김영진 -극동지역개발, 경제협력, 안보협력- 1. 서론 2. 아시아 회귀전략의 배경과 내용 3. 아시아 회귀전략의 정책적 성과와 한계 4. 우크라이나 전쟁의 영향 5. 결론
제2장 러시아의 극동개발전략과 동아시아_ 염동호ㆍ이현태 -한ㆍ중ㆍ일의 대러 협력 특징과 방향성을 중심으로- 1. 서론 2. 극동 개발의 정치ㆍ경제적 패러다임 변화 3. 극동지역의 산업구조와 지경학적 가치 4. 한ㆍ중ㆍ일 3국의 대극동협력 현황과 과제 5. 결론 및 정책적 함의
제2부 유라시아와 동북아시아 : 통합과 연결
제3장 우크라이나 전쟁이 러시아ㆍ중국의 에너지 협력에 미친 영향_ 정선미 1. 서론 2. 러시아의 에너지 전략과 정책 3. 러시아와 중국 간 에너지 협력의 전개 4. 우크라이나 전쟁과 러ㆍ중 에너지 협력 5. 결론
제4장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러시아ㆍ일본의 관계_ 장하영 -외교적 갈등과 경제협력- 1. 서론 2. 우크라이나 전쟁 이전의 러ㆍ일 관계 3.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러ㆍ일 외교 관계의 변화 4. 러ㆍ일 경제 관계의 변화와 에너지 협력 5. 결론
제5장 중앙아시아 주요 3개국과 중국 간의 에너지 협력_ 조영관 -기존의 성과와 향후 변동 전망- 1. 머리말 2. 중앙아시아 에너지 부문의 성장과 대중국 에너지 협력 관계 구축 3. 중앙아시아와 중국의 에너지 협력의 성과와 문제점 4.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중앙아시아의대외 에너지 협력 변동요인과 중국과의 협력 평가 5. 맺음말
제3부 유라시아와 동남아시아 : 협력과 갈등
제6장 러시아의 대 ASEAN 전략_ 윤영민 -양자관계의 발전과 러시아의 대외정책에서 ASEAN의 위치- 1. 들어가는 말 2. 러시아와 ASEAN의 관계 발전 3. 러시아의 대외정책과 ASEAN 4. 러시아와 ASEAN의 협력 유망분야 5. 맺는말
제7장 러시아와 베트남의 협력관계_ 박지원 -상호 전략적 인식과 발전 양상의 분석- 1. 서론 2. 양국의 상호 전략적 이해관계 3. 주요 협력 분야 및 함의 4.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양국 관계의 도전과 과제 5. 결론
제8장 푸틴 3기 이후 러시아와 인도네시아의 협력 관계 분석_ 이주연 1. 서론 2. 러시아ㆍ인도네시아의 외교정책 평가 3. 러시아와 인도네시아의 주요 협력과 평가 4.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양국 관계 5. 결론
| 저자약력(게재순) | 김영진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교수 염동호 한신대학교 평화교양대학 부교수 이현태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교수 정선미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HK 연구교수 장하영 경북대학교 강사 조영관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 선임연구원 윤영민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HK연구교수 박지원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연구위원 이주연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학술연구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