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속지식연구총서3
마을사회 민속지식의 전승양상
 
 
 
  저자안동대학교 대학원 민속학과 BK21플러스 사업팀
  판형|쪽신국판 | 320쪽
  발행일2016년 12월 30일
  ISBN 978-89-97916-84-9 (93380)
  비 매 품
 

안동대학교 대학원 민속학과 BK21플러스 사업팀 소속 대학원생들은 해마다 민속지식에 대해서 학술적인 조사와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2016학년도에는 “민속지식의 전승양상”이라는 주제로 각자 조사하여 연구하는 것으로 정하고 사업을 추진하였다. 그 결과 대학원생들은 하나같이 농촌 마을에 가서 조사하여 연구보고서를 작성하였다. 현장학이라는 민속학의 학문적 특성을 염두에 두고, 마을에 가서 민속지식의 전승에 관하여 조사하여 연구한 것이다. 그래서 이 책의 이름을 “마을사회 민속지식의 전승양상”이라고 하였다.

제1장의 주제는 생업과 생활 경험지식의 전승양상이다. 사람들이 경험을 통하여 축적한 민속지식은 생업과 생활의 영역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제2장의 주제는 삶의 지혜와 토착지식의 전승양상이다. 민속지식은 장구한 세월에 걸쳐 이어져온 토착지식이라 할 수 있으며, 주민들은 이를 통해 생태환경에 적응해 올 수 있었다.
제3장의 주제는 놀이와 의례 지식의 전승양상이다. 마을 주민들은 놀이와 의례의 지식을 통해 혈연이나 지연 등의 사회관계를 새롭게 형성하거나 재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제4장의 주제는 전통지식의 변화와 전승양상이다. 민속지식은 구전에 의한 전통지식이지만, 현대사회에서도 다양한 형태로 전승, 활용되고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더 큰 이미지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