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주사람들은 목소리를 꾸며 내는 소리를 좋아하지 않는다. 공주 소리의 가장 큰 특징은 목청을 편하게 쓰는데 있다. 노래를 잘하기 위해 자기 목이 소화해 내기 어려운 소리를 힘들여 하는 것을 <억지창>이라 하여 즐겨하지 않으며, 소리를 잘하는 사람에 대한 최고의 칭찬은 “그 사람 힘 안들이고 소리 참 잘햐.”라고 평가한다. 평상시에 쓰는 목청으로 노래를 잘 부른다는 것은 공부하여 익힌 소리는 아니고, 청을 좋게 타고난 사람만 노래를 한다는 의미가 아니다. 자신의 목으로 소화해서 낼 수 있는 음역에서 소리를 잘하는 것을 의미한다. (유영대)
추천사 공주의 향토민요 1절|공주, 예술의 본향 1. 공주의 역사와 인문지리 2절|공주의 토속민요 현황 1. 토속민요의 개념와 범위 2. 공주 향토민요의 자료 현황 1) 문헌자료, 음원자료를 포함한 공주의 향토민요 2) 공주의 등록 문화유산(무형문화재 속의 향토민요들) 3) 현재까지 전승되고 있는 향토민요들 4) 현재 활동하고 있는 향토민요 단체:10단체 418명 5) 현재 운영 중인 향토민요 관련 기관 6) 공주 향토민요 소리꾼들 3. 공주 향토 개요 1) 공주 향토민요의 특징 3절|공주 향토민요의 발전에 대한 제언 1. 공주의 향토민요 토양의 장점들 1) 풍부한 조사기록과 음원 2) 활동 향토소리꾼들의 왕성한 활동 3) 공주시의 육성 의지 2. 공주의 향토민요 토양의 아쉬운 점 1) 향토민요의 정리, 연구 미흡 2) 향토민요의 향유층의 노령화와 청소년 보급 미흡 3) 투자 미흡 3. 발전방안 제언 1) 향토민요의 정리, 연구 2) 향토민요의 청소년 보급 확대 3) 과감한 투자 4. 미완의 결론:국립충청국악원 유치의 가능성과 방향성
서론 공주의 민속 음악 1절|소리의 의미 2절|공주 소리판의 특성 1. 풍부한 소리와 가사들 1) 문헌자료, 음원자료를 포함한 공주의 향토민요 2) 양반문화와 공주 향토민요 3) 공주소리의 여유 3절|평성의 편안한 창법 1. 풍부한 향토 소리꾼들 4절|어깨 춤사위와 어울리는 흥의 고장
제1장 일노래勞動謠 1절|농요(논농사 일노래) 1. 가래질 소리 2. 말뚝 박는 소리 3. 모 찌는 소리 4. 모심는 소리 5. 논매는 소리 6. 호맹이 씻는 소리 7. 물 품는 소리(용두레질 소리) 8. 도리깨질 소리 9. 자리개질脫穀 소리 10. 농경가農耕歌 11. 나비질 소리 2절|일노래 1. 가마 메는 소리 2. 집터다지는 소리 3. 집터 다지기 가래질 소리 4. 목도질 소리 5. 농요 연습곡
제2장 놀이소리遊戲謠 1절|공주 아리랑 1. 조선 민요아리랑의 공주 아리랑 2. 공주 잦은 아리 3. 공주 긴 아리랑 4. 공주 엮음 아리(신세타령) 5. 기타 공주 아리 2절|공주 군밤 타령 3절|노랫 가락 4절|창부타령 1. 창부타령(평재) 2. 긴 창부타령 3. 권주가 5절|난봉가 6절|각설이 타령, 장타령 1. 긴 각설이타령 2. 기타 각설이 타령 3. 장타령 7절|일반 타령 1. 화투풀이 2. 새타령 3. 꽃 타령 4. 엿장수 타령 5. 범벅 타령 6. 욕 타령 7. 장기 타령 8. 신세타령 9. 담방귀타령 10. 두껍이타령 8절|풍년가 9절|우스개 소리諷笑歌 10절|청춘가 11절|기타 속요
제3장 의식요 1절|우성면 봉현리의 상례소리 1. 마을의 현황 및 유래 2. 생성 배경 및 특성 3. 봉현리의 상례 절차 4. 봉현리의 각종 상례 소리 1) 상여 행상 소리 2) 성분成墳 가래질 소리 3) 달공 소리 2절|신풍면 선학리 지게 상여 놀이 행상소리 3절|공주 지역의 행상소리 4절|공주 지역의 달공(달궁)소리 5절|환갑 노래
악보 찾아보기
이걸재 李傑宰
1956년 충청남도 공주 출생 1970년 의당 초등학교 졸 1980년 지방공무원 임용(전 석장리 박물관장) 1993년 충남문인협회 사무국장. 충남 소설가협회 사무국장 1985년 공주일원의 민속자료 채록 시작(공주시 정안면) 1996년 우성 봉현 상례소리 발굴(충청남도지정문화재) 1999년 공주의 소리마당 공연 시작 2002년 신풍 선학리 지게놀이 발굴(충청남도지정문화재) 2008년 의당 집터 다지기 발굴 2009년 전국향토문화공모전 대상수상(공주의 사투리 민속용어 채록보고서) 2009년 공주문화원 부원장 2013년 공무원 명예퇴직(사무관) 2015년 계룡면 하대리 칠석제 발굴(충청남도무형문화재 심의중)
주요 공연물 <공주의 각설이 타령>, <공주의 소리(民謠)>, <아라리요(한민족 아리랑 모음)> <아라리요(謠)> 외 다수
주요 창작공연물 <녹두장군오셨네>, <터(우리문화종합극)>, <터>, <구름지알>, <허숭애비춤> <동학>외 다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