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민요의 현장론적 연구>는 탐라 민요 현장론에 대한 연구서이다. 전반부에서는 제주민요 전반을 대상으로 기능에 따른 존재 양상을 살펴보고, 연행 현장을 바탕으로 사설의 기능적 성격과 구성 양상을 통해 사설 구성 원리를 도출하였다. 후반부에서는 제주도 특유의 개별민요를 대상으로 도출된 이론을 적용하여 노래마다 지니고 있는 고유의 연행문법과 기능, 사설의 성격과 내용을 분석하였다.
3장 제주민요 사설의 성격과 구성양상 1. 사설의 성격과 내용 2. 율격과 사설 구성 3. 가창방식과 사설 구성 4. 여음과 사설 구성
4장 제주민요의 연행과 사설 관련 양상 1. <밭밟는소리>의 연행과 사설 양상 2. <해녀노짓는소리>의 연행과 사설 양상 3. 장례의식요의 연행과 사설 양상 4. <서우젯소리>의 연행과 사설 양상
5장 결론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 | 변성구 제주 출생. 제주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졸업.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교육학석사). 제주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문학박사). 민요학회, 한국민요학회 회원. 현재 제주사대부고 교사, 제주도문화재 전문위원. 주요 논문 『제주도 서우젯소리 연구』,『제주민요의 후렴 연구』,『밭 밟는 노래의 연행 방식과 사설 연구』,『해녀노래의 사설과 유형구조』,『제주도 장례의식요의 전승실태와 사설 유형』등 다수.